기름값 계산기 활용법 두가지
자가용을 타고 여행을 갈 때
고속도로의 통행료라든지 주유비가 얼마나 들어가는지 등에대한
경비를 계산해보곤 하는데요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기름값 계산기 서비스를
활용하면 쉽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다음과 네이버를 예로들어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고 경로에 따른 주유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Daum입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다음지도를 검색하여
링크를 타고 들어가주세요. 그리고 [길찾기] 버튼을 누른다음
출발지와 도착지를 설정해줍니다. 중간에 들렀다가 가는 장소가 있다면
경유지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저도 임의로 출발 및 도착지를 설정해보았는데요
각각을 서울특별시청과 평창올림픽 스타디움으로 설정했습니다.
이동수단은 [자동차]로 선택하면 되겠죠? 최적, 무료, 최단거리 등 옵션을 골라주시고
실시간 교통정보를 적용할 것인지와 요금설정 옵션을 선택해줍니다. 요금설정 부분에서는
통행료의 차종 및 주유비 기준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 평창까지 대략 2만원대의
기름값이 들어가네요.
이번에는 네이버에서 기름값 계산기를 이용해보겠습니다.
네이버지도 페이지에 접속하시면 되는데요, 이용하는 방법은 조금전에
다음에서 했던것과 거의 유사합니다. 길찾기를 선택하고 자동차로 고른다음
출발 및 도착지를 설정해주세요.
통행료, 택시비, 주유비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유비는 여러분들이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니
현재 타고있는 차량의 유종과 연비를 고려하여 셋팅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