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3500 실수령액 얼마?
해가 바뀔수록 물가는 계속해서 오르는데
월급은 잘 오르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나마 내년에는 최저임금 상승률이
좀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는데요 직장인들의 급여 문제가 좋은 방향으로
개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연봉 3500 실수령액을 계산해볼까 하는데요
꼭 저 금액이 아니더라도 여러분들의 실제 연봉을 입력하여 계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취업사이트를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여러 사이트들이 있지만 이번시간에는 인쿠르트를 활용해보았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바로가기를 통할 수 있는데요 메인화면에 보시면 [연봉계산기]라고
아이콘이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연봉이나 월급을 선택하고
퇴직금, 비과세액, 부양가족수, 20세이하 자녀수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공제액을 제외한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회사 사정에 따라서 어느정도 차이가 있을수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번시간 주제에 맞게 연봉 3500 실수령액으로
조건을 입력해보겠습니다. 퇴직금은 별도로 설정했구요
비과세액은 10만원으로 했습니다. 부양가족수는 본인포함 1명,
20세이하 자녀수는 없다고 가정했는데 과연 실수령액은 얼마가 나올까요?
계산 결과 약 260만원 정도가 나왔습니다.
여러분들의 예상보다 좀 적은가요? 그 이유는 공제액 때문입니다.
4대보험에 소득세, 지방소득세를 합하면 약 31만원정도가 되는데요
매 월 저정도의 돈이 빠져나간다고 생각하면 아까울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연봉 액수에 따라서 연말정산을 할 때 일정부분 환급을 받을수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