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통행료 조회 방법
자동차로 고속도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에따른 통행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저는 국도를 이용할때도 있는데
만약에 차들이 막히지 않으면 요금을 내더라도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편입니다.
시간절약 측면도 있지만 어차피 국도로 구불구불한 길을 가다보면 그만큼 유류비도 더 나오기때문에
어떤 경우는 금액면에서 큰 차이가 없을때도 있더군요. 오늘은 고속도로 통행료 조회 팁에 대하여
글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사실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하면
곧바로 해당 서비스 툴을 제공해주기도 하는데 이번시간에는
한국도로공사라는 사이트를 이용해보겠습니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도로현황, 휴게소, 주유소,
톨게이트, 요금조회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메인페이지에 접속하시면 화면의 중단쯤에
[통행요금조회] 라는 아이콘과 메뉴가 있습니다. 들어가줍니다.
그 외에도 노선이라든지 휴게소정보, 미납요금조회 등을 해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랄게요.
고속도로 통행료 조회 확인을 위해서는
출발지와 도착지 설정을 해야겠죠? 각각의 요금소 검색창 옆에는
돋보기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요 그걸 눌러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저도 임의로
경로를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락에서 하남까지 간다고 가정할 때 얼마의 요금이 나오는지
확인해보았습니다.
한번에 도착하는 방법은 없네요.
결과를 보니까 가락에서 장유, 동서울을 거쳐 하남까지 가야합니다.
1종 자동차의 경우 총 18700원이 나오고 2종에서 5종으로 갈수록 가격은 더 비싸집니다.
그리고 1종중에서 경차는 상당히 저렴한 9350원의 요금이 나왔군요. 경차를 운행하면 이처럼
경제적인 측면에서 여러가지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차종을 구분하는 기준도 명시되어있는데
저는 이 표를 봐도 잘 모르겠더군요. 1종을 기준으로 보니까
소형차를 비롯하여 승용차, 소형화물차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경차만 아니면 일반 승용차의 경우 1종으로 포함되나보네요. 근데 이 기준은
차량별 제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