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 간편계산기 활용하기
직장생활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기본적으로
4대보험에 가입되어있을 겁니다. 그때문에 월급에서 일정부분 부담하게 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4대보험 간편계산기를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금액이 책정되는지 살펴보도록 합니다.
참고로 네개는 각각 국민연금과 건강, 고용, 산재보헙입니다.
네이버나 다음의 검색창에다가 위처럼 검색하시면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풀네임으로
검색어를 잡으시면 더 정확히 찾으실 수 있을 것 같네요. 아무튼 해당 링크를 타고
홈페이지에 접속해줍니다.
메인 페이지를 보시면 여러가지 메뉴들이 있습니다.
전자민원이라든지 증명서관련, 자료실, 참여 및 알림마당 등이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화면의 중단쯤 보시면 바로가기 메뉴에서
[4대사회보험료 모의계산] 항목이 있으니 들어가주세요.
그럼 지금부터 하나하나 예시를 보면서
계산기를 두드려보겠습니다. 먼저 국민연금입니다. 한달에 버는 돈을
180만원으로 가정했을때 근로자가 부담해야하는 금액은 81000원이 나왔네요.
사업주도 동일 금액에 대하여 부담하게 되는군요.
이번에는 건강보험입니다. 이번에도 역시
급여를 조금 전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근로자 부담액을 보았더니
54630원이 나왔습니다. 요율 퍼센티지가 세밀해서 그런지 10원단위까지 나왔네요ㅋ
고용보험을 살펴보면
회사의 근로자수가 몇 명이냐에따라 세액이 달라질 수 있나봅니다.
150인 이상 1000인 미만으로 잡고 180만원 급여로 받을때 세액은 11700원이 나왔습니다.
이번같은 경우는 사업주 부담액이 더 높네요.
4대보험 간편계산기의 마지막 항목은
산재보험인데요, 창을 새로 열어서 계산해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여러분들도 급여에 따른 세금을 잘 계산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