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틸리티정보/계산기

월급 세금계산기 이용해보는 방법

Utillike 2014. 9. 13. 11:25

취업 준비생들이 직장을 고르는 기준은 다양하겠지만
그 중에서도 필수 사항은 바로 월급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들 돈벌자고 하는 일인데
급여가 너무 적으면 그만큼 하고싶은 마음도 줄어들 것 같습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일을 하기 위해서는
단지 돈 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장을 구하는 것이 답일 것 같기도 합니다 ㅎㅎ

직장생활을 하고계신 분들이라면,
연봉이 얼마라고 하더라도 공제액이 여러가지 붙어서 실제로 받는 금액인
실수령액은 다르다는 것을 알고있을 겁니다. 오늘은 자신의 급여에서 붙는 세금을 계산해보기 위하여
월급 세금계산기 활용 방법을 두 가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첫번째 방법은 국세청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메인 페이지에서 상단에 있는 [조회,계산] 메뉴의
[근로소득간이세액표]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새롭게 나온 창에서는 간단한 설명과 함께
위처럼 월급에서 납부하는 세금을 계산해보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한달에 250만원을 번다고 가정하고 공제대상을 자기자신 1명으로 설정 후
조회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월 급여에 대한 세금 정보가 나왔는데요
총 4만원 돈이 나왔네요.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라고 합니다.
그런데 원 단위는 그냥 버리나보네요 ㅋㅋ 그럼 이번에는 취업사이트를 활용하여
월급 세금계산기 이용방법을 알아봅시다.





해당 홈페이지 메인에 접속하신 후
상단 메뉴들에서 [연봉] 항목으로 들어가주세요.



왼쪽 카테고리들이 나오면
사람인 연봉계산기 툴을 열어주시면 되겠습니다 ㅎ



이건 제가 이전에도 몇 번 소개드린 적이 있는 것 같은데요
자신의 급여 조건을 입력 후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서 결과를 보시면 됩니다.
좀전에 국세청 계산기에서 했던 것과 동일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달에 250을 벌고
비과세액은 0원, 부양가족수는 본인 1명으로 했을 때 계산 결과를 보니까 오른쪽과 같이 나왔습니다.
여기에서는 4대보험까지 계산이 되는데요 그걸 제외한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보니까 아까 계산했던 것과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ㅎㅎ